안녕하세요. 섬세, 집요, 꼼꼼한 '퍼플디자인'입니다.
요새 계속 상업공간 인테리어 위주로 포스팅을 해서
오늘은 오랜만에 주거공간 인테리어를 소개할까 합니다.
서울시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20평대 다세대 주택 빌라 인테리어입니다.
방 3개 욕실 2개의 구조입니다.
다세대 주택과 다가구 주택을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.
다세대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㎡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공동주택을 말한다. 소유권이 하나인 다가구 주택과 달리 다세대 주택은 구분소유이다. 연립주택은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㎡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공동주택이다.
네이버 사전에서 검색한 정의입니다.
간단하게 설명하면 소유권의 차이입니다.
다가구주택은 1명의 건물주 소유이고
다세대주택은 각호마다 소유자가 다른 것이죠.
좌측 시공 후 사진 우측 시공 전 사진입니다.
새시만 빼고 올 철거 수리했습니다.
주방구조 때문에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요.
냉장고 자리를 포기하고 키 큰 장을 넣고
냉장고를 주방 옆방으로 옮기셨습니다.
현관부터 보시겠습니다.
3 연동 중문에 아쿠아 유리를 넣어 시공하였습니다.
신발장을 단 높임 시공으로 좁은 현관의 공간을 좀 더 넓게 쓰실 수 있게 했습니다.
인체감지를 시공하여 깊은 부분에 간접등을 작동하였습니다.
바닥은 육각 헥사곤 비앙코 타일을 시공하였습니다.
시공 후 거실의 모습입니다.
밝은 색을 선호하셔서 밝은 그레이와 화이트톤의 벽지를 주로 사용했습니다.
시공 후 거실 욕실의 모습입니다.
벽과 바닥 타일 모두 비앙코 타일을 사용했습니다.
원래 욕실은 샤워수전이 엉뚱한데 달려있었는데
설비 작업을 통해 구조변경을 하였습니다.
샤워부스 공간이 빠듯해서 세면기와 양변기 위치를 정확히 이동하느라 힘들었습니다.
시공 후 안방의 모습입니다.
안방은 붙박이장이 있던 부분에 결로 때문에 곰팡이가 많이 슬어있어서
목공 작업 때 단열을 하였습니다.
문짝과 문틀 교체 및 몰딩 재시공하였고,
바닥은 밝은 색 우드무늬의 장판을 사용하였습니다.
시공 후 안방 욕실의 모습입니다.
안방 욕실은 거실 욕실과는 다른 느낌으로 시공하였습니다.
블랙 & 화이트 콘셉트 (Black & White concept)으로
도기들과 벽타일은 화이트 가구와 바닥 타일은 블랙으로 시공하였습니다.
시공 후 입구 방의 모습입니다.
빌라 중에 이런 방식으로 지은 집이 많은데요.
현관 신발장을 뜯어내면 위 우측 사진처럼 뚫려있는 공간이 나오는데요.
신발장 뒤판으로 마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신발장 뒤판은 우라판이라고해서 3mm밖에 안되기 때문에
출렁거리고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목공 작업 때 양면 벽체로 시공해드렸습니다.
시공 후 주방 옆방의 모습입니다.
방마다 벽지를 다르게 하는 걸 원하 시 않으셔서
한 가지 실크벽지로 시공하였습니다.
마지막으로 주방의 모습입니다.
화이트 무광 페트 재질의 싱크대입니다.
인덕션과 하이라이트 겸용 하이브리드 인덕션 시공해드렸습니다.
좁은 주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실수 있고 소비자 분과 상세도면으로
미팅 때 시뮬레이션을 많이 했습니다.
오늘은 목동 다세대 주택 빌라 인테리어를 소개해 드렸습니다.
마감재 리스트와 세부 공사내역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와 주세요 ▼
https://blog.naver.com/john0403/222645142270
주거 공간 인테리어 견적 상담 ▼
'Portfolio > 주거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천구 목동 20평대 다세대 주택 반지하 빌라 인테리어 (2) | 2022.03.28 |
---|---|
송파 위례신도시 24단지 꿈에그린아파트 부분 인테리어 (1) | 2022.02.15 |
경기광주 경안동 해태그린아파트 32평 부분 인테리어 (0) | 2022.01.21 |
성동구 응봉동 대림강변타운 아파트 인테리어 (도배, 장판) (0) | 2022.01.11 |
송파구 장지동 송파파인타운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(1) | 2021.08.25 |